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6-4946(Print)
ISSN : 2288-5412(Online)
The Yeats Journal of Korea Vol.73 No. pp.105-123
DOI : https://doi.org/10.14354/yjk.2024.73.105

Study on Seamus Heaney’s Tree Poems: Equanimous Musing Among Water, Earth and Air

Seong Chang Gyu
목원대학교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ymbolic representations of water, earth, and air in Seamus Heaney’s tree poems, juxtaposing them with the poet’s personal experiences and writing spaces. It focuses on “The Ash Plant” and “Squarings 41” from Heaney’s commemorative collection dedicated to his father, in Seeing Things. These poems mythologize the ash and willow trees found along the Moyola River, a landscape rich with childhood reminiscences, portraying them as both elemental entities and emblematic of traditional agricultural implements and materials. The analysis additionally delves into “Planting the Alder” from Heaney’s later work, District and Circle, which contrasts the urban setting of a subway line with the natural realm of the alder tree. “The Birch Grove” reflects upon the trees within the garden of an English acquaintance. Heaney’s translation of Rainer Maria Rilke’s poetry is explored, highlighting the imagery of fire and the symbolism of fruit in the lime and apple trees respectively, as integral components of the poetic process.

초록

이 연구는 셰이머스 히니의 나무 시에 등장하는 물, 땅, 공기의 상징적 의미를 시인의 개인적인 경험 및 글쓰기 공간과 견주어 탐색한다. 그의 아버지에게 헌정된 기념 시집 『사물 보기』에 수록된 「물푸레나무」와 「제곱화 41」은 어린 시절의 추억이 담긴 풍경인 모욜라 강변에서 발견되는 물푸레나무와 버드나무를 신화화하여 원초적인 존재이자 전통적인 농기구와 재료의 상징으로 묘사한다. 지하철 노선의 도시적 배경과 오리나무의 자연적 영역을 대조하는 히니의 후기 작품인 『구역과 원』의 「오리나무를 심으며」도 분석 대상이다. 또 「자작나무 숲」은 영국인 지인의 정원에 있는 나무를 관조한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시를 번역한 히니는 시적 과정의 필수 요소인 불의 이미지와 과일의 상징성을 각각 강조하며 나무를 관조한다.

Figure

Table

  1. SEARCH
  2. Submission : JAMS

    https://yjk.jams.or.kr/

  3. YSK

    The Yeats Society of Korea

  4. Editorial Office
    Contact Information

    - Tel: +82-2-2220-4477
    - E-mail: ilhwan_y@hanyang.ac.kr